• 전체 3606 |
  •  페이지 298/361
2005학년도 천안캠퍼스 학위수여식 안내

2006.02.13

8,702

인기글

우리 대학의 학위수여식이 오는 2월 16일 서울캠퍼스(오전 10시)와 천안캠퍼스(오후 2시)에서 진행됩니다. 영예의 졸업장을 받는 졸업생 여러분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 하며 뜻있고 의미있는 행사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일시 서울 : 2006. 2. 16(목) 10:00 천안 : 2006. 2. 16(목) 14:00 2. 장소 서울 : 주 학위수여식장 - 난파기념음악관 대강당 천안 : 주 학위수여식장 - 학생극장 * - 각 전공별 학위수여식장 - 각 전공별 지정장소(서울. 천안 공통) 3. 기타 사항 가. 주학위수여식장 참석 대상 1) 대학원(특수대학원 포함) 2) 학부는 대표수위자 및 대표수상자만 참석 나. 이 외의 학부 졸업생은 각 전공별 지정장소에서 졸업식 시행 다. 학부생의 졸업까운은 각 전공사무실에서 배부 4. 전공별 학위수여식 장소 단과대학 전공 장소 학위수여식 장소안내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 인문학관 217-01호 < 오전 11:00 > 041)550-3101~3102 역사학 영어전공 독일어전공 프랑스어전공 스페인어전공 러시아어전공 중국어전공 일본어전공 몽골어과 법정대학 법학전공 사회과학관 321호 041)550-3301~3252 행정학전공 사회과학관 301호 경상대학 경제학전공 사회과학관 401호 041)550-3351~3352 무역학전공 사회과학관 412호 경영학전공 사회과학관 006-02호 회계학전공 경영정보학전공 환경경제학전공 사회과학관 408호 첨단과학대학 응용수학전공 제1과학관 315호 041)550-3401~3402 전자물리학전공 제1과학관 322호 화학전공 제1과학관 215호 생물학전공 제1과학관 407호 미생물학전공 제1과학관 415-01호 공학대학 토목환경공학전공 제2과학관 304호 041)550-3501~3502 신소재공학전공 제2과학관 213호 공업화학전공 제2과학관 305,307호 식품공학전공 제2과학관 515호 산업공학전공 제2과학관 509호 전자공학전공 제2과학관 303호, 309-01호 컴퓨터과학전공 제2과학관 214호, 217-01호 멀티미디어학전공 제2과학관 512호, 412-01호 생명자원 과학대학 식량자원학전공 생명자원학관 국제회의장 209-1호 041)550-3601~3602 관상원예학전공 동물자원학전공 환경조경학전공 예술대학 시각디자인과 예술관 공연장 137호 041)550-3702~3703 서양화과 동양화과 공예과 무용과 문예창작과 생활음악과 체육대학 생활체육학전공 체육관 배구장 041)550-3801, 3803 스포츠경영학전공 운동처방학전공 태권도학전공 의과대학 의학//간호학과 의학관 114호 대강당 041)550-3901~3902 치과대학 치의학 치의학관 제4강의실 041)550-1901~1902 대학원, 정책경영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 스포츠과학대학원 주학위수여 식장 (학생극장) 041)550-1261~1263 교 무 처

윤용호

</b><font color=>2005학년도 서울캠퍼스 학위수여식 안내</font></b>

2006.02.13

14,952

인기글

우리 대학의 학위수여식이 오는 2월 16일 서울캠퍼스(오전 10시)와 천안캠퍼스(오후 2시)에서 진행됩니다. 영예의 졸업장을 받는 졸업생 여러분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 하며 뜻있고 의미있는 행사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일시 서울 : 2006. 2. 16(목) 10:00 천안 : 2006. 2. 16(목) 14:00 2. 장소 서울 : 주 학위수여식장 - 난파기념음악관 대강당 천안 : 주 학위수여식장 - 학생극장 * - 각 전공별 학위수여식장 - 각 전공별 지정장소(서울. 천안 공통) 3. 기타 사항 - 주학위수여식장 참석 대상 1) 대학원(특수대학원 포함) 2) 학부는 대표수위자 및 대표수상자만 참석 * 이 외의 학부 졸업생은 각 전공별 지정장소에서 졸업식 시행 - 학부생의 졸업까운은 각 전공사무실에서 배부 - 학위증 : 행사종료후 각 해당 전공사무실에서 가운반납후 배부 - 졸업앨범 : 해당 전공사무실에서 배부 - 교사자격증 - 1) 사범대소속학생 : 해당 학과사무실 2) 비사범대소속학생 : 사범대 교학지원과(사대 308호) - 평생교육사 자격증 : 교육지원과(본관 110호) 4. 전공별 학위수여식 장소 단과대학 전공 장소 학위수여식 장소안내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문학관 506호 02)709-2333 영어영문학(주.야) 문학관 207호 중어중문학 문학관 503호 독어독문학 문학관 509호 일어일문학 문학관 305호 사학 문학관 302호 예술조형대학 도예 미술관 405호 02)709-2748 시각디자인 미술관 405호 산업디자인 서관 608호 연극영화 신관 B110호 자연과학대학 화학 과학관 613호 02)709-2803 식품영양학 과학관 716호 분자생물학 신관 302호 응용물리학 과학관 217호 컴퓨터과학(주.야) 신관 301호 정보통계학 신관 301호 사회과학대학 법학 신관 206호 02)709-2462~3 행정학(주.야) 신관 601호 정치외교학 신관 307호 도시지역계획학 신관 304호 부동산학 신관 304호 언론홍보학 신관 201호 방송영상학 신관 202호 상경대학 경제학(주.야) 상경학관 208호 02)709-2493 무역학(주.야) 상경학관 503호 경영학(주.야) 상경학관 207호 회계학(주.야) 상경학관 510호 경영정보 상경학관 511호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제1공학관 323호 02)709-2543 기계공학 제1공학관 320호 화학공학 제1공학관 423호 섬유공학 제1공학관 209호 고분자공학 제1공학관 410호 전기전자컴퓨터공학 학생극장 건축대학 건축학과(4년제) 서관 103호 02)709-2261 건축공학과 서관 103호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사범학관 311호 02)709-2623 특수교육과 사범학관 113호 수학교육과 사범학관 301호 과학교육과 사범학관 421호 체육교육과 체육관 주경기장 음악대학 기악 음악관 114호 02)709-2669 성악 음악관 114호 작곡 음악관 114호 국악 서관 810호 교 무 처

이철승

<font style=letter-spacing:-1;>이보라 양, 토리노 동계올림픽서 남북한 동시 입장 기수로 선정</font>

2006.02.10

6,769

인기글

이보라 양(체육교육 1년/빙상 국가대표)이 동계올림픽 최초의 남북한 공동입장 기수로 선정되었다. 대한올림픽위원회(KOC)는 오는 11일(한국 시간) 이탈리아의 토리노에서 개최될 동계올림픽에서 북한과 개‧폐회식에 동시 입장하기로 최종 합의, 이보라 양과 북한의 피겨스케이팅 남자 선수인 한정인 씨를 각각 기수로 선정했다. 개회식은 우리 시간으로 11일 오전 4시 이탈리아 토리노의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린다. 남북한 선수들은 개회식에서 흰색 단복을 입고 국호는 개최국인 이탈리아어로 'COREA'로 결정, 85개 국가 중 21번째로 입장한다. 이번 대회에 우리 나라는 빙상과 스키, 루지, 스켈레톤, 바이애슬론 등 5개 종목에 69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북한은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에 선수 6명 등 14명이 참가한다. 그동안 남북한은 시드니올림픽(2000년)과 아테네올림픽(2004년), 부산아시안게임(2002년), 아오모리 동계아시안게임(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2003년), 마카오 동아시아게임(2005년) 등 국제종합대회에서 여섯 차례에 걸쳐 동시 입장했으나 동계올림픽은 처음이다. 이보라 양은 최근 열린 '회장배 전국남녀 빙상경기대회'에서 [여대부 500m, 1000m]에서 연이어 우승, 대회 2관왕을 차지한 바 있으며 이번 동계올림픽에서도 좋은 성적이 기대되는 차세대 유망주이다.

김영선

장애학생 교육복지 실태평가 ‘우수’ 선정

2006.02.06

4,678

인기글

우리 대학이 장애학생에 대한 특별전형, 교수 및 학습지원, 시설 및 설비 분야에서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지난 2일 교육인적자원부는 ‘2005학년도 대학 장애학생 교육복지 실태 평가’에서 우리 대학의 서울, 천안 양캠퍼스 모두를 ‘우수’로 평가했다. 이번 평가는 전국대학 214개 4년제 대학 중 자체평가보고서를 제출한 157개 대학에 대해 ‘장애학생 특별전형, 교수ㆍ 학습지원, 시설ㆍ 설비’의 3개 영역별로 평가했으며 우리 대학은 3개 영역에서 모두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다. 우리 대학은 지난 2003년 평가에서도 천안캠퍼스가 ‘우수’로 평가받은 적이 있다.

김영선

정책과학연구소 ‘충남지역통일교육센터’ 선정

2006.01.27

4,788

인기글

천안캠퍼스 정책과학연구소(소장 김성윤교수)가 최근 통일부에서 주관하는 지역통일교육사업의 충남지역 통일교육 운영 주체로 선정됐다. 정책과학연구소는 향후 1년간 지역민을 상대로 통일교육시범학교 운영, 분단현장 체험교육, 민족통일 촉진대회, 남과북의 만남과 다가서기 등 다양한 통일교육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정책과학연구소는 우수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하여 2005년도에 이어 유일하게 2006년에도 통일부로부터 「충남지역 통일교육센터」로 지정받게 되었다. 통일부의 지역통일교육 사업은 2005년도에는 전국에 5개 대학을 지정하였으나 2006년도에는 서울ㆍ경기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9곳으로 확대 지정했다.

송덕익

동양학연구소ㆍKBS, 소년 미라의 모든 것 밝힌다

2006.01.25

6,312

인기글

박성실 교수팀이 발견한 조선조 소년 미라의 모든 것이 밝혀진다 소년 미라! 조선시대의 생로병사를 말한다! 2001년 겨울, 석주선기념박물관의 박성실 교수팀이 발견해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400여년된 ‘소년 미라’의 전모가 오는 1월 31일 KBS 1TV [생로병사의 비밀-소년 미라 400년의 비밀]을 통해 전국에 방영된다. 우리 대학의 동양학연구소 김명주 연구팀(인류학 분야ㆍ의과대 교수)과 KBS는 컴퓨터 단층촬영과 내시경 등 첨단의학을 동원해 2001년 겨울 경기도 양주에서 발견된 400여년된 소년 미라의 모든 것을 밝힌다. 소년 미라는 지난 2001년 11월, 석주선기념박물관의 박성실 교수팀이 해평(海平) 윤(尹)씨 분묘 이장공사 현장에서 발견(조선 중기의 5.5세 어린이-치의학 검사로 추정된 나이)되었으며, 그동안 우리대학 병원에 안치되었다. 특히 당시에 미라뿐 아니라 조선조 사대부 집안의 성인, 유아 의복이 원형 그대로 발굴되어 민속학 측면에서도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동양학연구소와 KBS는 소년 미라의 죽음을 밝히기 위해 해부학, 병리학, 치의학, 피부과 등 임상 전문가들의 협조아래 소년 미라의 몸 속을 공개하고, 뼈, 치아, 모발 상태, 출토 의복을 통해 최첨단 3D 그래픽으로 생존 당시의 모습을 재현할 예정이다. □ 방송일시 : 2006.01.31(화) < 22:00 ~ 23:00 > □ 채널 : KBS 1TV

김영선

2006학년도 1학기 종합강의 시간표

2006.01.20

3,896

파일 인기글

안녕하세요. 교육지원과 수업과 입니다. 2006학년도 1학기 종합강의시간표 입니다. 참고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윤영

국제운송물류회사인 세방(주)과 산학협력

2006.01.17

5,538

인기글

우리 대학과 국제운송물류회사인 세방(주)이 산학 일체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공동 프로젝트 추진, 재학생 인턴십 운영 등 다양한 산학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권기홍 총장과 이상웅 세방그룹 총괄사장은 지난 12월 22일 우리 대학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산학협력식을 체결하고, [세방(주) 국제운송물류 인턴십 과정]을 개설해 3명의 재학생을 선발했다. 인턴십 과정으로 선발된 학생은 배효상(무역학전공 4학년), 김진호, 김지희(무역학전공 3학년) 양 등 모두 3명이다. 해당 학생들은 2006년 1,2월 두달동안 세방(주)에 인턴사원으로 파견되어 국제물류영업 업무를 익히며, 인턴 성적이 우수할 경우 채용의 특전이 주어진다. 권기홍 총장은 "양 기관의 산학협력이 구체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며 "물류의 중요성이 갈수록 비중을 더하고 있어 대학차원의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세방(주)의 이상웅 총괄사장은 작년 12월 8일 우리 대학을 방문, "물류기업의 비전과 나의 꿈"을 주제로 특강을 열었으며, 이때 재학생들에게 '물류에 대한 개괄적인 의미'와 '기업이 바라는 21c 인재상'에 대한 소견을 밝히기도 했다. 세방그룹 : 서울 역삼동 세방빌딩에 본사를 두고 있다. 세방(주)을 모기업으로 16개 계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제물류운송회사인 세방(주)의 연 매출은 3,700억원(이다.

김창해

이국적 세련미와 비대칭 구조로 [현대건설 기술공모전 은상]

2006.01.17

7,016

인기글

학생 작품 [통천교(通天橋)]가 한국적이면서도 이국적인 세련미와 곡선화된 주탑의 부드러움, 비대칭의 멋과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받아 지난 12월 27일 [2005년 현대건설 기술경진대회] 은상을 차지했다. 수상의 주인공은 이상빈, 오미란, 하태기, 정소연, 정환우, 이은형(이상 서울캠퍼스 토목환경공학전공 3학년) 등 여섯 명. 이번 대회는 현대건설이 전국 공과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공학계의 발전을 꾀하기 위해 토목분야와 건축분야 등 2개분야에 걸쳐 공모를 받았으며 하태기 군 등은 토목분야의 [토목구조물 디자인 공모전]에서 영예의 은상을 받게 된 것이다. [Design] 통천교의 처음 모습은 현재의 모습과 달리 안쪽으로 굽어진 곡선의 주탑이었다. 하지만 시각적인 불안정감으로 인해 수정을 거쳐 현재와 같이 바깥쪽으로 곡선화하여 시각적인 안정감과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Stability] 바닥판의 한쪽 측면에 위치시킨 주탑이 바닥판의 50%를 지지하고 있다. 구조적 안정을 이루기 위해 주탑의 맞은편으로 케이블을 연결하여 바닥판의 하중을 주탑에 전달한다. [Economical Efficiency] 전체를 BOX 거더로 제작하는것에 비하여 BOX와 TRUSS를 복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였다. [The Finish] 곡선화한 주탑의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구조적인 안정감을 이룬 미래지향적인 교량 “통천교” 가 완성되었다. 통천교 (通天橋) - 하늘로 통하는 다리 통천교는 주탑 사이의 중앙지간이 200m이고 20m의 교폭을 갖는 총연장 640m의 4차선 교량으로 설계되었다. 주탑은 높이 100m의 철근 콘크리트구조이며 교량 바닥판의 50%를 지지하고 반대쪽의 50% 교량 바닥판은 케이블이 지지하는 복합 사장교이다. 사장교는 여러 형식의 교량 중 하나로 주탑과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 주탑과 케이블의 연결이 아름다워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현재 시공되어 있는 사장교들은 가운데 부분이 우뚝 솟아있는 'I'형, 또는 'H'형의 주탑을 기본으로 이들을 조금씩 변형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는 이러한 기존의 모습들을 벗어나 새롭고도 창의적으로 디자인 되었다. 통천교의 주탑은 한글 모음의 ‘ㅓ’를 형상화 했다. 그리고 기존의 대칭형 주탑의 형태 대신 교량의 한 방향에만 설치하여 비대칭의 아름다움을 나타내었다. 주탑 하부로 갈수록 두껍게 설계하여 구조적으로도 안전하고 균형을 이룬다. 특히 콘크리트 재료가 지닌 투박한 느낌을 보완하기 위해서 주탑 상부를 곡선화 하여 부드러운 느낌이 나도록 설계하였다. 주탑과 교량 바닥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교량 바닥판의 한 방향에 치우쳐 설치된 주탑이 시각적으로 비대칭 것이다. 하지만 바닥판이 켄틸레버 형식으로 주탑에 연결되어 있다. 주탑에서 시작된 케이블이 반대방향의 교량 바닥판을 지지하고 주탑 자체가 바닥판을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을 이룬 것이다. 즉, 케이블의 비대칭 배열 구조의 안정성이라는 미래 지향적인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통천교는 한국적(‘ㅓ’형)이면서도 이국적인 세련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곡선화된 주탑의 부드러움과 아름다움, 비대칭의 멋과 구조적 안정을 갖춘 통천교는 미래 지향적 교량이다. 현재에는 시공하기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미래에는 시공 가능한 교량으로서 기본적인 다리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통천교 자체의 아름다움과 주변경관과의 조화로서 유명한 관광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을 알릴 수 있는 충분한 교량이라고 생각한다. "에피소드가 있다면?" 공모전 준비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때는, 처음 시작할 때였습니다. 창의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교량을 어떻게 디자인하여야 할지 막막했습니다. 막연히 아름다움에 기준을 두고 교량을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의 경제성,시공성,안정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디자인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팀원들이 처음에 여러 아이디어를 내고, 가장 적합한 아이디어를 선택하기까지가 가장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반면에 공모전 준비하면서 가장 즐거웠던 때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 그 순간 즉, 모든 노력의 결과가 판넬로 완성한 순간이었으며, 우리의 작품이 조명을 받고 시상식 장에 걸려 있었을 때가 가장 즐겁고 보람을 느꼈던 순간이었습니다. "수상소감은?"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많이 힘들었지만 고생한 보람이 있네요. 무엇보다 팀원 각자가 ‘토목’이라는 분야에 대해서 많이 배웠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토목인으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을 느꼈구요. 부족한 저희들에게 이런 좋은 기회를 주시고, 많은 도움을 주신 정철헌 교수님을 비롯한 전공 교수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구요. 또 준비하면서 큰 힘이 되어주고 도움을 주었던 동기들과 대학원 선배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앞으로의 계획은?" 이번 공모전을 계기로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 있을 다양한 공모전에 참가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후배들을 위해 저희가 갖고 있는 정보와 노하우들을 최대한 전해줄 계획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토목환경공학전공내에 동아리를 만들어 이들을 보다 활성화시키려 합니다. "도움을 많이 주신 정철헌 교수님께" 이번 공모전에 있어서 가장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공모전 참가와 관련해 저희들에게 많은 생각의 기회를 주셨고, 교수님께서 소장하신 여러 책들과 공모전 준비에 관한 많은 자료들을 제공해 주셨습니다. 무엇보다도 통천교가 완성되기까지 부족했던 저희들에게 많은 조언을 해주신 것이 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저희들이 ‘토목’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주셨습니다.

김창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