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사개요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는 지난 8년간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한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방안 연구”를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대학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을 수행했다. 특히 연구의 마무리단계인 3단계(2015년~2017년)에는 본 연구소의 지난 연구과정 및 성과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관련 연구자 및 연구단체, 기관과의 경험 교류 및 연구의 실천적 대안 모색을 위한 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에 3단계 1년차에 해당하는 지난 2015년 8월에는 ‘반교어문학회’,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와 함께 “보편과 특수로서의 북한 문학예술, 그 중층적 독해의 가능성”을 주제로 공동포럼을 개최한 바 있다. 여기서는 북한문학예술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주목하여 북한문예연구의 쟁점과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모색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2016년 8월에는 “겨레말큰사전 편찬사업”, “북한시학연구”, “통일인문학연구”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 등 지금까지 남북한, 더 나아가 한민족 문화의 소통과 융합가능성을 주제로 한 연구사업에 참여했거나 참여 중인 연구자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장으로서 “한민족 문화예술 소통과 융합을 위한 연구 실천 사례와 전망”을 주제로 하는 포럼을 개최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들이 폭넓게 논의될 예정이다.
*발표토론
개회사 김수복(단국대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장)
사 회 임옥규(단국대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지정질의 배인교(단국대 한국문화기술연구소)
01. 이상숙(가천대)
북한시학연구 과정과 과제
02. 모순영(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한민족 문화예술 소통과 융합을 위한 흔적, 《겨레말큰사전》에서 찾다
03. 전영선(건국대)
건국대학교 통일 교육 현황과 통일 교육의 방향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04. 남원진(건국대)
총서 ‘불멸의 력사’ 연구
05. 이지순(북한대학원대)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
06. 박덕규(단국대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 방안 연구
07. 종합토론 사회 홍지석(단국대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공지사항 등 게시판의 게시 내용에 대한 문의는 해당 게시물에 표기된 연락처나 담당부서(VOC)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