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특성화

    -마이크로전공모듈
    ○ 신소재공학과의 마이크로전공모듈의 전공역량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식활용역량’, ‘자기주도역량’, ‘도전역량’ 순으로 높은 연계성 존재
    ○ 전공분야의 고도화된 전문성 함양을 목적으로 설정한 모듈형 교육과정은 신소재공학과의 교육목표인 전문성 및 자기주도성과 강한 연계성 존재
  • 국내외교류

    ○ 해외 대학 학습 및 연구교류 MOU 체결 [Saint Martin University (미국), IMP (러시아),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미국), University of Tennessee (미국)]
    ○ 연구소와 학연과정 진행 및 연구 교류 MOU 체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소 등]
    ○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과제 수행 및 고용 연계 활동
    ○ 각종 학회 (대한금속재료학회, 세라믹학회, 한국표면공학회,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등) 임원 및 편집위원 활동
  • 졸업후진로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다양하게 변화해 갈수록 신소재 전문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게 됩니다. 신소재공학은 국내 8대 주요산업 (반도체, 디지털전자, 자동차, 이차전지, 철강, 기계, 화학, 조선) 및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창출 직업군을 포함한 국가전략 12대 유망신산업 (전기차, IoT 가전, 바이오헬스, 프리미엄 소비재, 첨단 신소재,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스마트친환경 선박, 항공·드론·로봇)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신소재 전공자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내에서도 높은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우리 신소재공학과 졸업생들은 대기업, 중견기업, 벤처기업, 정부 출연연구소,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 다양한 활동영역에서 연구개발, 제조생산, 평가, 관리의 전문가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공심화와 더불어 인턴십 등의 산학연계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실험 및 실습을 통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설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기타

    ○ 신소재공학과는 입학부터 졸업에 이르기까지 학생-교수 간 지속적인 상담체계인 지도교수제 시행
    ○ 정기적으로 학생상담 실적을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 학생상담 보고서 작성을 통하여 학생상담 자료를 분석하고 개선방안 도출
    ○ 학과 교수들은 학생상담을 통해 확인한 중요 건의사항과 학과 개선방안들을 수시로 접수하여 학과 교수회의 진행 및 반영 (Feedback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