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洋學學術會議 연보

동양학연구원 東洋學學術會議 연보
회수 개최일자 주제 발표자 비고
1회 1970. 10. 12.   4명  
2회 1971. 10. 26 ~ 27. 한국문화의 형성 4명 국제
3회 1973. 10. 27 ~ 28. 한국고대문화의 특성 6명  
4회 1974. 10. 26 ~ 27.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高麗期(I) 6명 국제
5회 1975. 10. 11 ~ 12.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高麗期(II) 6명  
6회 1976. 10. 16 ~ 17.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高麗期(III) 6명  
7회 1977. 10. 15 ~ 16.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 6명 국제
8회 1978. 10. 15 ~ 16.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I) 6명  
9회 1979. 10. 13 ~ 14.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II) 6명  
10회 1980. 10. 11 ~ 12.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V) 6명  
11회 1981. 10. 17 ~ 18.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藝術部分(1) 美術 6명  
12회 1982. 10. 23 ~ 24.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I):藝術部分(2) 音樂·演劇 6명  
13회 1983. 10. 15 ~ 16.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II): 外交·國防部門 6명  
14회 1984. 10. 13 ~ 14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III): 16世紀末 倭亂期에 關한 綜合硏究 6명 국제
15회 1985. 10. 12 ~ 13.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
韓·中·日 實學의 特性
6명 국제
16회 1986. 10. 12 ~ 13.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I):實學部門(2) 6명  
17회 1987. 10. 17 ~ 18.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II) 6명  
18회 1988. 10. 15 ~ 16.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V) 6명  
19회 1989. 10. 14 ~ 15.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 6명  
20회 1990. 10. 19 ~ 20.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I) 6명  
21회 1991. 10. 26 ~ 27.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II):
近代國語의 特徵과 硏究史 檢討
6명  
22회 1992. 10. 16 ~ 17.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III): 文學部門 6명  
23회 1993. 10. 21 ~ 22.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X): 哲學·思想部門 6명  
24회 1994. 10. 15.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X):藝術部門(1) 5명  
25회 1995. 10. 14.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XI):
藝術部門(2)
5명  
26회 1996. 10. 26.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XII): 軍事·外交部門 5명  
27회 1997. 10. 18. 韓國近世文化의 特性-開港期(I):
韓國近代史의 歷史的 性格
5명  
28회   연구실 해체 - 미개최    
29회 1999. 10. 30. 開港期의 改革과 近代化 5명  
30회 2000. 10. 28. 동아시아의 문호개방과 근대화 5명  
31회 2001. 10. 20. 改化期의 語文學 5명  
32회 2002. 10. 19. 개화기의 전통문화와 에술 5명  
33회 2003. 10. 18. 개화기 신구사상의 대립과 교체 5명  
34회 2004. 10. 16. 改化期 經濟 社會의 變動 5명  
35회 2005. 10. 22. 日帝 强占期의 政治 5명  
36회 2006. 10. 21. 日帝 强占期의 經濟와 社會 5명  
37회 2007. 10. 25. - 개교 6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
동아시아 삼국의 역사인식과 영토문제
5명 국제
38회 2008. 12. 05. 일제강점기의 문학과 예술 4명  
39회 2009. 11. 20.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4명  
40회 2010. 10. 29. 동아시아 문명 기원과 교류 7명 국제
41회 2011. 11. 11. 동아시아 청동기문화의 교류와 국가형성 7명 국제
42회 2012. 11. 09. 동아시아의 철기문화와 고조선 8명 국제
 

연구과제 학술회의

동양학연구원 연구과제 학술회의(중점, 토대)
회수 일자 주제 장소 비고
1차 2002. 08. 23 ~ 24.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 이해 서관905 중점
2차 2003. 07. 25 ~ 26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교류 서관905 중점
3차 2004. 08. 20 ~ 21. 개화기 대외 민간문화 교류의 의미와 영향 서관905 중점
4차 2005. 08. 23 ~ 24. 개화기 대외 민간문화 교류: 평가와 제안 서관905 중점
5차 2006. 08. 25 ~ 26.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 서관905 중점
6차 2007. 07. 27 ~ 28.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I 서관905 중점
7차 2008. 07. 21 ~ 22.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
-그 의의와 전망 -
박물관
세미나실
중점
8차 2008. 08. 21.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상생활과 근대매체 박물관
세미나실
중점
9차 2008. 08. 28. 학술세미나: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II 박물관
세미나실
중점
10차 2009. 08. 27 ~ 28.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V 박물관
세미나실
중점
11차 2010. 03. 19.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인식과 그 전환의 단초 법학관 319호 토대기초
12차 2010. 08. 17 ~ 18.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V 박물관
세미나실
중점
13차 2011. 03. 19.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교류와 소통의 양면성 대학원동
318호
토대기초
14차 2011. 07. 07 ~ 08.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VI 대학원동
318호
중점
15차 2012. 03. 17. 동아시아 삼국, 새로운 미래의 가능성 대학원동
318호
토대기초
16차 2012. 07. 18.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산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Ⅶ: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 대학원동
318호
중점
 

학술 심포지움

동양학연구원 학술 심포지움(추후 사전학, 번역학 학술회의 분리 예정)
회수 일자 주제 발표자 장소 비고
1회 2007. 02. 09. 동북공정 이후, 우리 학계의 과제 4명 서관905  
2회 2008. 02. 22. 한국상고문화기원 연구 방향의 모색 5명 박물관  
3회 2008. 12. 17. 東亞細亞 辭典의 歷史와 未來 (제1회) 6명 인문관201호  
4회 2009. 02. 23. 한국상고문화기원 연구방법론의 탐색 4명 박물관  
5회 2010. 02. 05. 연민문고 고서의 종합적 검토 4명 박물관  
6회 2011. 02. 18. 동아시아 한자 사전의 현황과 과제(제2회) 4명 박물관  
7회 2011. 09. 22. 韓中 朱子學의 傳承과 創新 9명 도서관
세미나실
 
 

사전학 학술회의

동양학연구원 사전학 학술회의
회수 일자 주제 발표자 장소 비고
1회 2008. 12. 17. 東亞細亞 辭典의 歷史와 未來 6명 인문관201호  
2회 2011. 02. 18. 동아시아 한자 사전의 현황과 과제 4명 박물관  
3회 2012. 02. 10 동아시아 고유한자의 국제표준화와 사전편찬 7명 박물관  
4회 2013. 02. 01 동아시아 한자사전의 웹정보화 현황과 미래 7명 박물관  
5회 2014. 02. 07 한국학 사전 편찬의 회고와 전망 5명 박물관  
6회 2014. 10. 17 한자사전 편찬 방법론 연구 6명 국제관102호  
 

번역학 학술회의

번역학 학술회의
회수 일자 주제 발표자 장소 비고
1회 2012.2.11 한국문집의 번역과 "월정집" 6명 도서관 세미나실  
2회 2013.2.2. 용주(龍洲 ) 조경(趙絅)의 문학과 사상 5명 도서관 세미나실  
3회 2013.12.20. 象村家의 時代認識과 文學世界 6명 도서관 세미나실  
4회 2014.11.29. 한시 번역과 연구, 그리고 대중화 5명 도서관 세미나실  
 

역사문화연구소학술대회

역사문화연구소학술대회
회수 일자 주제 발표자 장소 비고
1회 2014.01.24. 천안의 역사문화자원 현황과 활용방안 -고대문화유적을 중심으로- 3 천안캠퍼스 율곡기념도서관 2층 다목적실  
2회 2014.12.19 "천안의 초기 백제유적과 정치체" 4 천안캠퍼스 산학협력관112  
 

기 타(비정기적인 학술회의)

기 타(비정기적인 학술회의)
일자 주제 발표자 장소 비고
2011.6.21. ~22. 신흥무관학교 설립 100주년 기념 한중공동
항일투쟁 국제학술대회
한시준외 8명 9.18역사박물관 중국 심양
2012.10.12. 北京에서의 韓國獨立運動과 李會榮
(한중수교20주년 및 우당선생 순국8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최기영 외 5명 北京大學二院 중국 베이징
2012.10.31. 梵亭 張炯의 독립운동과 단국대학설립 한시준외 4명 서관 B104 개교65주년기념
2013. 11.15. 제국주의와 아시아   도서관 세미나실 원아시아재단 지원
2014.4.13.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제95주년기념 학술회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카이로선언 한시준 외 4명 백범 김구 기념관 독립기념관·
광복회 공동
 

정기연구발표회(월례발표회) 및 해외 학자 초청 강연회

정기연구발표회(월례발표회) 및 해외 학자 초청 강연회
회차 날짜 발표자 주제
1 1972.6.13. 이장우 사기 태사공 자서
2 1972.7.12. 박천규 진서 부여열전
3 1972.8.16. 이휘교 송서 사령운전론
4 1972.9.12. 김광수 사기 조선열전
5 1972.10.11. 송항룡 송서 도연명전
6 1972.11.14. 이장우 한서 사마천열전찬
7 1972.12.13. 박천규 북사 신라열전
8 1973.2.20. 김광수 양서 신라전
9 1973.3.21. 송항룡 사기 노자전
10 1973.4.25. 이장우 진신당서전
11 1973.5.17. 박천규 북사 우문술전
12 1973.6.19. 이휘교 구당서 두보전
13 1973.8.28. 김광수 삼국지 위지 한전
14 1973.9.21. 송항룡 사기 장자전
15 1973.10.12. 이장우 진서 진수전
16 1973.11.23. 박천규 북사 백제전
17 1973.12.21. 이휘교 위지 왕찬전
18 1974.1.25. 김광수 금사 고려전
19 1974.2.22. 송항룡 사기 공자세가
20 1974.3.26. 이장우 오지 손견, 손책전
21 1974.4.23. 박천규 북사 백제전(續)
22 1974.6.25. 이휘교 구당서 이백전
23 1974.7.27. 김광수 원사 기황후전
24 1974.8.27. 송항룡 송사 주돈이전
25 1974.9.26. 신승하 명사 조선전
26 기록 없음
27 1974.11.28. 이장우 신당서 맹교전
28 1974.12.17. 박천규 진서 동이,진한
29 1974.12.17. 이휘교 신당서 문예전(중)
30 1975.1.31. 김광수 원사 탐라전
31 1975.2.25. 송항룡 송사 도학전
32 1975.3.27. 이휘교 구당서 송지문전
33 1975.4.23. 이장우 사기 백이열전
34 1975.6.24. 김광수 북사 권94, 열전82
35 1975.9.29. 송항룡 송사 권 427, 도학전一 장재
36 1975.10.28. 장석권 조선왕조형벌법의 특징
37 1975.11.28. 김광수 25사 발췌자료범례 설명
38 1975.12.23. 신승하 송사 고려전
39 1976.1.28. 박천규 사기 권124, 어협열전 제64
40 1976.2.24. 이휘교 한서 권54, 이광,소건전 제24(이릉전)
41 1976.4.24. 송병기 하여장의 주지외교의에 관하여
42 1976.5.21. 이호영 승신미 사호 시비
43 1976.7.23. 송항룡 노장에서의 언어문제
44 1976.9.23. 장석권 조선왕조 형벌법의 특징
45 1976.10.25. 이호영 괘안 이수온의 일연구
46 1976.11.17. 장석권 兪吉濬의 법사상
47 1977.3.28. 송병기 대한제국의 성립에 관하여
48 1977.4.25. 박천규 사대부에 관하여
49 1977.5.20. 井上秀雄 일본에 있어서 한국학 연구 근황
50 1977.6.27. 송항룡 동양인의 신관
51 1978.5.20. 이호영 성읍국가설에 관하여
52 1978.6.22. 김상현 삼국유사를 통해본 일연의 불교사 인식
53 1978.8.31. 김상홍 다산의 사회시에 관한 연구
54 1979.10.10. 황패강 내가 본 일본과 그 문화
55 기록 없음
56 1981.4.6. 김원모 견미사절 홍영식복명문답기
57 1981.4.30. 김상현 만파식적설화의 구조적 분석
58 1981.5.28. 서영수 광개토대왕비문의 「朝貢」기사에 대하여
59 1981.6.25. 강재철 삼국유사의 漢讚에 대하여
60 1981.7.15. 윤내현 중국원시시대연구의 문제점
61 1981.9.9. 이호영 신라삼국통일에 관한 재검토
62 1981.10.28. 김상홍 다산시의 이미지에 대하여
63 1981.11.24. 이강로 문법적 모호성과 그 사전처리의 문제점
64 1981.12.15. 권영대 서보의 한시와 그 특징
65 1982.1.29. 이호영 의려제련화설
66 1982.3.23. 이충구 한국한자에 대한 문자학적 고찰
67 1982.4.26. 이강로 차자어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68 1982.11.29. 김영만 한한사전에서의 한자음
69 1982.12.6. 강재철 구미에 있어서의 한문학연구의 동향
70 1983.1.25. 김원모 장인환 저격사건의 역사적 의의
71 1983.5.23. 이강로 어휘의 고증과정에 대하여
72 1983.6.27. 김원모 로즈함대의 내침과 양헌수의 항전
73 1983.11.30. 김영수 여류문학연구의 몇 가지 검토
74 1983.12.7. 윤내현 고조선의 재인식
75 1984.4.26. 한시준 조소앙 연구: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76 1984.9.14. 이강로 동형어휘의 처리요령
77 1984.11.16. 홍순석 한자어 주석상의 관련어 처리에 대하여
78 1984.12.11. 김동길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1)
79 1985.1.30. 이호영 거칠부전 검토
80 1985.2.19. 김동길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2)
81 1985.2.22. 김원모 원세개의 한글본 시사지무십관
82 1985.4.12. 김동길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3)
83 1985.4.18. 김윤우 한국 고지명에 대한 소고
84 1985.5.17. 김동길 사전주석에 대한 제문제
85 1985.6.28. 유덕상 원시불교에 있어서 無我의 개념
86 1986.5.9. 서지원 한한대사전의 컴퓨터편찬조판에 대하여
87 1986.6.17. 김동길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1)
88 1986.7.8. 김동길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2)
89 1986.9.9. 서지원 한한대사전의 편찬과 컴퓨터인쇄
90 1987.3.19. 서지원 사전편찬과 컴퓨터인쇄(2)
91 1987.6.10. 유덕상 불교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연기론적 사고
92 1987.9.16. 한시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선전활동
93 1987.11.10. 김영수 려말선초의 문학론 소고
94 1987.12.4. 정용욱 3·1운동의 지역별 전개양태 및 그 특징
95 1987.12.21. 정석용 김종직의 한시 고찰
96 1988.5.20. 서지원 사전출판에 있어 컴퓨터이용의 국내외 동향
97 1988.7.8. 강영순 유몽연의 문학연구
98 1988.8.12. 정용욱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좌파의 범위와 그 논리
99 1988.8.19. 정석용 『遊頭流錄』소고
100 1988.9.23. 김영수 조선전기시가논의 소고
101 1989.2.24. 유덕상 민중불교의 개념고찰
102 1989.4.18. 김윤우 신라말의 구사성과 진례성고
103 1989.6.13. 김세봉 조선전기 사화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104 1989.8.30. 정용욱 북한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의 특징
105 1989.9.27. 정석용 김종직의 기행문학고: 유두류록을 중심으로
106 1989.11.22. 유덕상 미륵사상의 현대적 고찰
107 1990.3.26. 이강로 사전적 처리에서 본 중국음과 한국음
108 1990.4.30. 변종현 고죽 최경창 한시의 당풍적 성격
109 1990.5.28. 김상현 삼국유사의 역사방법론적 고찰
110 1990.6.18. 이호영 신라 · 고구려의 재정관서
111 1990.9.28. 강영순 금계필담의 유형분류와 구전소설의 관련양상
112 1999.3.29. 김병기 대동칠십일갑사에 대하여
이은상 중국문학사 서술을 위한 일반원칙
113 1999.6.28. 김현수 구미인의 생사관에 대한 일고찰
김호연 부민관 연구를 위한 시론
114 1999.9.28. 윤승준 한·중 우언의 비교연구(1)
신재의 조선에 치과의학의 도입
115 1999.12.28. 홍성남 이우준의 <몽유연행록>에 대하여
116 2000.6.12. 김태석 모리스 꾸랑의 생애와 저술
117 2001.6.20. 오인영 서양의 여행기와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오리엔탈리즘
118 2002.7.2. 박원길 몽골의 행정체제 변천사
이은상 순욱의 목천자전 인식
119 2003.1.27. 김기선 대마도 지명에 나타나는 몽골 지명 요소에 관한 고찰
김호연 한국 근대 악극에 관한 일고찰
120 2003.10.2. 박승범 해적의 나라
121 2004.7.29. 신선희 Demosthenes와 아테나이의 대외정책
이현우 오유란전에 대하여
122 2004.12.9. 권동순 天草版平家物語의 시간표현
박상진 제1차 검인정시대 학교문법서의 품사론
123 2005.5.18. 이재령 중국 향촌 교육공동체의 사상적 모색
송재용 구한말 순국열사 주영공사서리 이한응
124 2005.7.11. 장두식 강경애 소설 연구
박상진 영화광고 언어 연구
125 2005.11.28. 권동순 중세말 일본어 시간표현
이현우 화랑세기 소재 향가 1수의 대비적 고찰
126 2005.11.28. 송재용 송덕봉론
장두식 연애소설의 공식성 연구
127 (125) 2006.12.15. 윤성주 미국에서의 최근 동아시아 연구동향
조춘리 신좌파와 자유파의 세기논쟁
126 2007.6.22. 김난주 일본 중세극의 그로테스크성 고찰
이현우 민요에 나타난 採詩觀 연구
127 2007.12.6. 김문식 연민문고 필사본의 가치
Eugene Y. Park 한국 근현대 족보담론과 전문직 중인층의 동향
128 2008.6.20. Li Feng Managing the World through Writing
김정렬 빈공수 명문과 그 역사적 의의
129 2008.12.9. 표광종 문화콘텐츠 산업 현황과 전망
김재훈 디지털 문명과 융합의 경쟁력
130 2009.2.16. 장두식 홍사용의 「저승길」 연구
유용태 한국 근대 문학정전의 미적 범주 연구
131 2009.6.23. E.Shaugh nessy 중국 고대 점복과 시의 상관성 (Arousing Images: The Poetr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of Poetry)
132 2009.9.21. 魏存成 중국 소재 고구려 ․ 발해 유적의 이해
133 2010.5.28. 부유섭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年間 中國書籍 유입에 대하여
134 2010.6.28. 김재관 이광수의 근대교육의식 연구 - 문명·문화담론을 중심으로
서종원 「願堂重修記」를 통해 본 위도띠뱃굿의 위상과 역할
135 2010.8.26. 함영대 조선 후기 韓日양국의 학술교류와 󰡔童子問󰡕
박영미 韓日지식인의 日光에 대한 시선과 그 양면성
엄태웅 영웅소설 속의 중국, 그리고 조선
안창수 韓日 초기 소설사 서술양상 고찰
서한석 <泛槎圖>와 김석준 ―그림에 깃든 문화교류의 단면
136 2010.10.23. 권동순 17세기 일본인의 조선인식 - 杉村妥女의 <上京之時每日記>에 대하여
맹영일 조선 중기 화론의 전개양상 - 간이 최립의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이종필 ‘행복한 결말'을 통해 본 17세기 소설사의 변환 양상
137 2010.11.18. 강인규 중국최초의 미국유학생 용굉의 일생
138 2010.11.26. 김정숙 조선시대 문헌 속 琉球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손유경 17세기 초 明使 接伴 양상에 관한 고찰
배종석 梅泉 黃玹의 「李忠武公龜船歌」 고찰
139 2010.12.15. 김홍겸 󰡔老殘遊記󰡕와 중국소설의 Storytelling
이호석 宗密의 󰡔原人論󰡕의 시각에서 본 僧肇의 「涅槃無名論」
140 2011.1.27. 김영옥 조선조 한자 자형의 전승 양상
부유섭 연행록을 통해 본 건륭 연간 중국 서적 유입에 대한 연구
141 2011.5.31. 김홍겸 韓中日의 여우 이미지 비교연구
김난주 女狂言考-중세 사회와 여성
이호석 明鏡과 破鏡을 통한 頓漸論爭의 재해석
142 2011.7.20. 함영대 여유량의 사서강의 수용과 조선후기 학술의 성격
박영미 󰡔韓客唱酬錄󰡕의 해제
김호연 한국 대중공연예술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고 -일제강점기 소녀가극을 중심으로-
143 2011.8.17. 이종필 내재적 발전론을 통해 본 고소설 연구의 흐름과 향방
엄태웅 조선후기 설인귀 수용의 맥락
144 2011.9.27. 김재관 李光洙 初期 論說에 나타난 文明化論 硏究 ―敎育論을 중심으로―
김홍겸 󰡔西遊記󰡕 속 손오공의 사회화 과정
이호석 󰡔中論󰡕 「觀涅槃品第二十五」에서 涅槃의 의미 ―靑目(Pingala)과 月稱(Candrakīrti)의 註釋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145 2011.10.7. 劉釗 찬란한 유년기 ―고고학 발견과 중국 고대문명의 새로운 평가―
146 2011.12.20. 서한석 김석준의 범사도첩 연구
김정숙 조선인이 본 일본의 기생과 性文化
권동순 일본인의 조선기행문 2
이영수 󰡔장화홍련전󰡕 설화의 구비전승 양상에 관한 연구
김홍겸 중국창세신화 연구 - 혼돈과 개벽을 중심으로
이호석 僧肇의 緣起觀 ―󰡔肇論󰡕을 중심으로―
147 2012.1.16. 김철웅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 대한 재검토
이권희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148 2012.5.18. 이호석 󰡔肇論󰡕에 나타난 佛의 속성 ―佛敎는 汎神論인가 理神論인가?―
조동영 퇴계기념중앙도서관 소장 고문서 정리의 학술적 가치 ―敎旨를 중심으로―
이권희 메이지 唱歌 교육에 관한 小考
김홍겸 한중 고대신화 속 닭과 알의 이미지
149 2012.6.18. 김재관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五道踏破旅行」의 상관성 연구
서종원 일제강점기 완구에 대한 고찰
유용태 한국 근대문학 정전의 구조 연구
150 2012.10.4. Lothar von Falkenhausen 공자시대 중국 청동기 - 西周 後期 儀禮 改革
151 2014.2.5. 김태국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정체성
 

해외 학자 초청 발표 및 강연

해외 학자 초청 발표 및 강연
일자 주제 발표자 장소 비고 (정기연구발표회 회차)
1977.5.20. 일본에 있어서 한국학 연구 근황 井上秀雄     49회
2006.12.15. 미국에서의 최근 동아시아 연구동향 윤성주 (Carleton College) 박물관 125회
신좌파와 자유파의 세기 논쟁 趙春利 (상해대학)
2007.12.06. 한국근현대 족보담론과 전문직 중산층의 동향 Eugene.Y.Park (UC.Irvine) 박물관 127회
2008.06.20. 청동기 금문과 중국고대사를 통한 세계 관리 Li Feng (컬럼비아대) 박물관 128회
2009.0623. 중국 고대 점복과 시의 상관성 (Arousing Images: The Poetr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of Poetry) Edward Shaughnessy (시카고대) 박물관 131회
2009.09.21. 중국 소재 고구려 발해 유적의 이해 魏存成 (길림대) 박물관 132회
2010.11.18. 중국최초의 미국유학생 용굉의 일생 강인규 (대만 중원대) 사범관 208호 137회
2011.10.7. 찬란한 유년기 ―고고학 발견과 중국 고대문명의 새로운 평가― 劉釗 (중국 復旦大) 도서관 세미나실 145회
2012.10.4. 공자시대 중국 청동기 - 西周 後期 儀禮 改革 Lothar von Falkenhausen (UCLA) 서관 B103호 150회
2014.2.5.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정체성 김태국 (중국 연변대) 도서관 세미나실 15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