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식 |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인문관)
- 전화번호 :031-8005-3026
- 이메일 :
- 직급:교수
교수소개
서울 우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석사)를 졸업했으며, 1996년에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려 시대 석독구결의 조사에 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 받았다.
1997년부터 2008년 10월까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학정보센터에 근무하면서 인문학 역사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을 관리하고, 국어사 연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국어사 자료 처리를 위한 방법론과 국어정보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2008년 1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어문생활사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한국 고유한자와 역사 지명 표기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고대국어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2011년 3월부터 본교의 전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固有漢字의 發達-地名의 후부 요소 表記를 중심으로-」, 「<朝鮮地誌資料>京畿道 廣州郡 수록 地名 表記의 분석적 연구」, 「조선 전기 문헌 자료에 나타난 어류명 표기에 대한 연구」, 「한국에서의 한자 표기 禾의 원시적 의미와 용법」 등의 최근 논문을 비롯한 25편의 논문이 있다.
교육철학
1. 교양인을 육성하여 국가의 기반이 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2. 이론과 자료 분석 능력을 겸비하도록 하여 비평적 사고를 실현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학력
- [1978] 고 우신고등학교 /
- [1983] 학사 단국대학교 / 국어국문과 / 국어사
- [1988] 석사 단국대학교 / 국어국문과 / 국어사
- [1996] 박사 단국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 국어사
주요연구분야
국어정보학 분야
지명학 분야
차자 표기, 향찰, 이두, 구결 등의 분야
한국 고유한자 및 한국 한자어 분야
컨설팅 가능 분야
국어사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분야
한자의 표준화 원리 적용 분야
역사 지명 유래 해설 분야
연구업적
- 연구보고서[20131231] 지명 표기실태 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 일반논문[20240630] ‘고개’의 어원과 한국 固有漢字 岾의 造字法에 대하여-日本 ‘とうげ[峠]’와 韓國 ‘고개[峴]’의 어휘 의미와 관련 어휘의 대조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40229]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의 민족어별 분포와 유입된 중국어 촌락명의 유형 - 언어 지식 문화 접촉에 따른 언어 변화의 동기 및 결과와 관련하여 -
- 일반논문[20231231] 論山 皇華山城 出土 瓦銘文에 나타난 지명 표기 ‘葛那城, 笠乃, 立乃’ 등의 국어사적 의의-漢字 지식 문화의 수용 과정과 관련하여-
- 일반논문[20231231] 정조 대왕 ‘부천 능행길’의 노정과 정치적 함의
- 일반논문[20231231] 富川 지명의 체계적 신해독 -지명의 지형 특성과 명명의 보편성에 입각하여
- 일반논문[20230831]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吏讀辭典 편찬의 규모와 과정
- 일반논문[20230228] 新羅 啄評 解讀
- 일반논문[20221231] 1917년 함경남도 영흥군 地誌調書 편철 문서에 나타난 面名과 洞里村名 표기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20831] 馬韓小國 優休牟涿國 표기와 조선 시대 富平都護府 注火串面 표기의 의미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하여
- 일반논문[20211231]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
- 일반논문[20210831] 한국 固有漢字 판단의 오류 사례와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탐구
- 일반논문[20210228] 古代·中世 日本과 韓國의 知識 文化 交流를 통해 본 共通 漢字와 漢字語
- 일반논문[20200630] 조선 시대 경기도 楊州牧 행정구역 명칭의 우리말 명칭 표기의 복원
- 일반논문[20190831] 訓借 표기 기반 日本 國字와 音借 표기 기반 韓國 固有漢字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90430] 日本 國字와 韓國 固有漢字의 고유성 판단 기준 설정의 필요성
- 일반논문[20190228] 조선 시대 富平府의 삼국 시대 표기 계승 면명 표기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81230] 조선시대 부평부 洞里村名 후부 요소의 특징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80228] 사냥매 肢體 관련 용어의 차자 표기 고유어와 몽고어 차용어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80210] 脱漢字化の文字生活時代に於ける韓国の漢字硏究動力の点検
- 일반논문[20171231] 태안해역 출토 목간의 어학적 특징
- 일반논문[20170831] 현전 유일의 어휘 質正錄과 조선 시대 質正官 使行 목적과 근거
- 일반논문[20170831] 字吐釋讀口訣에 나타난 ‘조건’과 ‘양보’의 부사와 보조사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70228] 麗末鮮初 順讀口訣 吐 ‘/며히’의 형태 구성 분석을 통해 본 부사형 어미 ‘-/며’와 ‘-/히’의 문법적 특징
- 일반논문[20161231] 중국식 한자 지명 표기의 음가적 표음성과 비상관적 표의성-『고려사』 소재 22역도 체제 역명의 시대별 이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930] 조헌의 질정록(質正錄)에 대한 국어학적 분석과 한자어 차용의 특징
- 일반논문[20151231] 고려 시대 차자 표기 漕運浦口名 未音浦/鹵水浦 해독
- 일반논문[20151230] 1920년대 ‘소 부리는 말’에 대한 방언 자료집 "朝鮮ニ於ケル畜牛使役用語(조선에 있어서의 축우 사역 용어)"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50430] 통합 漢韓大辭典의 國字 처리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50201] 均如 鄕歌 請佛住世歌의 내용 이해와 어학적 解讀
- 일반논문[20140801] 李圭景의 名物度數之學과 관련된 언어와 문자 자료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40601] 新羅 地名 表記 奈乙의 해독과고대국어 ‘*을[水]’을 보존한 중세어 어휘
- 일반논문[20140201] 醴泉開心寺址五層石塔記 銘文의 국어학적 연구
- 일반논문[20140201] 한ㆍ중ㆍ일 삼국 潮水 구분 계열어의 유형론적 특징
- 일반논문[20130831] 中國 古代 標點 符號의 類型과 韓國 古代와 中世의 標點 符號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30831] 조선 시대 潮水 구분 계열어의 의미 대립 체계
- 일반논문[20130801] 西畿停 관련 借字 表記의 역사와 현존 어형-音借 表記 豆良彌知停과 訓借 表記 富山城의 동질성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30621] 경국대전주해의 계통과 국어 어휘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30201] 한국고유한자 구성요소 [책받침]의 의미와 특수성 형성 배경
- 일반논문[20121231] 조선초기 동리촌명의 국어학적 연구
- 일반논문[20120831] 朝鮮 時代 文獻 資料에 나타난 말의 部分 毛色 名稱 借用語의 起源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20831] 華嚴經傳記 德圓傳과의 내용 비교를 통한 新羅華嚴經寫經造成記 語彙의 해독 재고
- 일반논문[20120830] 한국 고유한자 자형 구성 방법 연구 이제 - 기존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형성으로 만들어진 한국 고유한자의 몇 가지 사례-
- 일반논문[20120228] 均如 鄕歌 請轉法輪歌의 내용 이해와 語學的 解讀
- 일반논문[20111231] 『新編集成馬醫方』의 鄕名 表記 解讀
- 일반논문[20111228] 한국 고유 한자 [口禾]의 시대별 용례와 始原的 意味
- 저서/역서[20230222] 1959년 인천시 지명조사표 - 인천시지명제정위원회 ‘결정통과본’ -
- 저서/역서[20210420] 한국 고유한자의 구성법 연구
- 저서/역서[20201103] 이두사전
- 저서/역서[20111031] 경기도 역사지명 사전(京畿道歷史地名事典)
- 학술발표[20161029] 고려사 소재 역명의 표기 변화를 통해 본 역명의 음독 표기 현상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51128] 고려 시대 차자 표기 조운포구명 미음포 해독
- 학술발표[20150819] 여말선초 순독 구결 하며히 해독
- 학술발표[20150627] 1920년대 ‘소모는 소리’ 방언자료집 『朝鮮ニ於ケル畜牛使役用語』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40509]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수록된 언어와 문자 관련 내용의 국어학적 가치
- 학술발표[20140207] 고어대사전 편찬의 회고와 전망-표제어 선정과 채록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31214] 인문학 디지털 텍스트의 데이터화 처리
- 학술발표[20131213] 예스페르센의 부정법 체계로 파악한 국어 부정사의 양태 표현 기능
- 학술발표[20130821] 羅末麗初 漕運 浦口名 未音浦 차자 표기 해독과 신라어 乙[泉]을 보존한 중세어 어휘
- 학술발표[20130620] 한중일 삼국의 조수 구분 계열어의 구별 기준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 학술발표[20130222] 한국 고대와 중세의 표점 부호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30116] 물때 시가 계열어의 체계와 변화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21214] 신라시대 지명표기 豆良彌知停의 해독
- 학술발표[20120908] 조선초기 동리촌명의 국어학적 연구
- 학술발표[20120821] 고구려 지명 표기에 사용된 한국 고유한자 [수]의 의미와 자형 구성 방법
- 학술발표[20120210] 한국 고유한자의 발달 유형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11007] 古代 동아시아 寫經 儀式의 形成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10924] 攷事撮要 馬色 條 對譯 語彙 資料의 국어사 연구 상의 가치
- 학술발표[20110809] 新羅華嚴寫經造成記 어휘의 해독 재고
- 학술발표[20110728]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아카이브의 데이터 구조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