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주필 사진

윤주필 |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 직급:
    명예교수

교수소개

연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한문학, 한국문학사 전공으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촉탁으로 장서각 소장 고문서를 정리했고, 한국고전번역원(구 민족문화추진회)에서 한문고전을 수학하고 전문위원으로 봉직하면서 [광해군일기], [현종실록] 등을 번역했다. 1992년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조교수로 취임한 이래로 한국 고전문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 고문헌과 동아시아 우언문학 및 세계 알레고리 문학에 대해 연구하면서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박사학위 [조선전기 방외인문학에 관한 당대인의 인식 연구]로 제1회 나손학술상(1991), 논저 [한국의 방외인문학]으로 제5회 성산학술상(2000), 다수의 연구논저로 교내 연구업적상(535호, 2003)를 수상한 바 있다. 편/저/역서로는 [남호거사 성춘향가] [한국의 방외인 문학] [틈새의 미학] [윤리의 서사화] [동아시아 우언론과 한국의 우언문학] [동아시아 우언문학비교론] [우언의 인문학적 위상과 현대적 활용] [한국 우언산문 선집 1,2,]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등이 있다.

학력

  • [1979] 학사 연세대학교 / 중어중문학 / 초사학
  • [1985]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문학 / 한국한문학
  • [1991] 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문학 / 고전문학

주요연구분야

동아시아 한문문학
우언과 알레고리 문학
한국 고소설
한국 교술문학

컨설팅 가능 분야

ㅇ 동양 고전 및 경전 강독
ㅇ 한문 원전 해독과 번역을 위한 기초 교육
ㅇ 한국 고전문학의 기초자료 수집 및 정리
ㅇ 고문서의 정리와 해독
ㅇ 동아시아 문명권의 공통 자질을 이해하기 위한 인문학 인프라 구축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00620] 동아시아 호랑이[虎] 소재 우언의 비교 연구 -베트남 작품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0914] 成海應의 연작 악부시 「季文蘭의 노래」와 조선 후기 지식인의 심리적 상흔
  • 일반논문[20171231] 고려 후기 불교 우언과 전기우언
  • 일반논문[20170831] 무의자 혜심의 <죽존자전>과 <빙도자전>의 꼼꼼히 읽기
  • 일반논문[20161206] <孔方傳>과 <淸江使者玄夫傳>의 우언적 독해
  • 일반논문[20161027] 베트남 <아기장수> 설화의 특징과 소설적 활용
  • 일반논문[20160317] 전란의 상처 ‘잡혀간 여자’(被擄女)의 기억-연행길의 진자점 계문란 사적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추모 의식-
  • 일반논문[20151001] 유구 채온(蔡溫)의 <사옹편언(簑翁片言)>과 18세기 동아시아 담론의 가능성
  • 일반논문[20150401] 한국 고전문학에서 본 중국 산동과 강남의 체험과 인식
  • 일반논문[20150301] 동아시아 <孔子․童子問答> 전승의 연원 고찰
  • 일반논문[20141231] <孔子童子問答>의 동아시아적 전개 비교론
  • 일반논문[20140930] 한국 고시가의 강남 문학지리학
  • 일반논문[20140831] 베트남 전기신보(傳奇新譜)와 신전기록(新傳奇錄)의 우언소설적 성격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31230] 한국 전통연희의 도상성과 미학 -경복궁 중건 시역 때의 대공연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31130] 동아시아 문명권의 공자 형상과 인식
  • 일반논문[20130630] 연희시가의 전통에서 본 <관우희>
  • 일반논문[20130621] 수로조천행선곡의 원전비평과 의미 재고찰
  • 일반논문[20120630] 한국 한문학에서 본 中國 江南의 文學地理學
  • 일반논문[20120430] 전기소설 국문번역집 {고압아 전기}와 의령 남씨 가문
  • 일반논문[20111230] [보한집] 어떻게 읽을 것인가? -그 체재와 주제 읽기-
  • 일반논문[20110630] <국순전> <국선생전>의 우언적 독해 -가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 일반논문[20101230] 귀토지설과 화왕계의 대비적 고찰
  • 일반논문[20101230] 우언과 성리학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 일반논문[20100630] 우언과 정치-정치담론으로서의 한국 우언문학
  • 일반논문[20091130] 우언과 알레고리 이해의 확장
  • 일반논문[20090630]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특성 연구
  • 일반논문[20081231] 한국 우언산문에 나타난 자연물 모방의 경향과 특징
  • 일반논문[20071231] 우언문학사와 초기소설의 관련 양상
  • 일반논문[20070630] 경복궁중건 연희시가를 통해 본 전통공연 문화 연구
  • 일반논문[20060630] 한국에서의 <공자동자문답> 전승의 분포와 그 특징
  • 일반논문[20060630] 베트남의 <서정전>과 한국의 <옹고집전>의 비교 -진가쟁주 설화의 수용미학적 관점-
  • 일반논문[20050430] 우언의 인문학적 위상과 문화론적 맥락
  • 일반논문[20041231] 동아시아 고소설의 우언 활용의 비교고찰
  • 일반논문[20031230] 오륜전비 번안소설 이본에 대한 연구
  • 일반논문[20021230] 우언 글쓰기의 언어관과 명실론
  • 일반논문[20021206] <원생몽유록> 연구의 비판적 이해
  • 일반논문[20020930] 16세기 사림의 분화와 낙서거사 이항의 <오륜전전> 번안의 의미
  • 일반논문[20020910] 동아시아 문인관료의 처세관과 우언계 소설
  • 일반논문[20020831] {강촌유고 초사본}의 우언작품 탐색
  • 일반논문[20020210] 원생몽유록의 종합적 고찰
  • 일반논문[20011230] 우언 글쓰기의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 일반논문[20011031] 중세지식인의 존재방식과 <홍길동전>
  • 일반논문[20010630] 고소설과 설화문학의 관련성 연구의 제 문제점
  • 일반논문[20010630] 한국 우언문학에서 여성적 주체의 변위와 의미
  • 일반논문[20000725] 지식인의 궁기와 고집 -선비 고궁론
  • 일반논문[19991125] 경북궁 중건 때의 전통놀이 가사집 {기완별록}
  • 일반논문[19990625] 중세 지식인의 존재 방식과 「홍길동전」
  • 일반논문[19990225] 26史에 나타난 方外人傳의 전개양상(1)
  • 일반논문[19981230] 한국 서사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자연과 문명에 대한 대립적 인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19981030] 한국문학에 나타난 한국인의 자연관 연구
  • 일반논문[19980630] 寓言小說의 양식사적 검토
  • 일반논문[19980525] 조선조 우언소설의 반문명성-『의산문답』의 허구적 장치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19980325] 귀신이야기의 설화적 전통과 범주
  • 일반논문[19980325] 도가담론의 反모방성과 조선조 우언소설의 근대의식
  • 일반논문[19980301] 설화에 나타난 도학자상-남명 전승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19980228] 이인설화의 의미층위와 문제점
  • 일반논문[19970630] 필사본 <성춘향가>의 이본적 특징
  • 일반논문[19970410] 귀신론과 귀신이야기의 관계 고찰을 위한 시론
  • 일반논문[19970228] 한국문학에 나타난 한국인의 우주관과 사생관 연구
  • 일반논문[19960406] 방외인 문학의 전통(2) - 한문고전을 통해 본 방외.방외인 우언의 연원
  • 저서/역서[20201015]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 : 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 저서/역서[20191215] 한국 고전문학의 넘터 : 한국 고전문학 강의
  • 저서/역서[20190228] 한국 우언문학사. 1
  • 저서/역서[20130301] 조선전기 우언소설
  • 저서/역서[20110220]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젊은 인문학자 27인의 종횡무진 문화읽기
  • 저서/역서[20100610]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 저서/역서[20080927] 한국 우언산문 선집 1,2
  • 저서/역서[20060615] 우언의 인문학적 위상과 현대적 활용
  • 저서/역서[20050225] 동아시아 우언문학 비교론
  • 저서/역서[20040430] 고전문학 담당층과 문학의식의 제 문제
  • 저서/역서[20040401] 동아시아 우언론과 한국의 우언문학
  • 저서/역서[20040217] 윤리의 서사화 -오륜전비 수용연구-
  • 저서/역서[20031201] 고전문학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하)
  • 저서/역서[20030620] 한국 우언문학 감상 : 틈새의 미학
  • 저서/역서[20020520] 동아시아문학 속에서의 한국한문소설 연구
  • 저서/역서[19990830] 한국의 방외인문학
  • 저서/역서[19990115] 성춘향가
  • 저서/역서[19941130] 승정원일기 고종 9권
  • 저서/역서[19921230] 광해군일기 10
  • 저서/역서[19920415] 小學索引
  • 학술발표[20150819] 베트남 <아기장수> 설화의 특징과 소설적 활용
  • 학술발표[20150807] 류큐 사이온(蔡溫)의 <蓑翁片言>과 18세기 동아시아의 담론
  • 학술발표[20141018] 한국 고전문학에서 본 중국 산동과 강남의 대비 인식
  • 학술발표[20140217] 베트남 전기신보(傳記新譜)와 신전기록(新傳奇錄)의 우언소설적 성격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30626] 한국한문학 연구에서 수렴과 확산의 시각 -그 구심력과 원심력의 조화-
  • 학술발표[20130330] 연희 시가의 전통에서 본 <관우희>
  • 학술발표[20120427] 동아시아에서 전승된 공자 형상에 관한 고찰
  • 학술발표[20080821] 한국 우언산문에 나타난 자연물 모방의 경향과 특징
  • 학술발표[20080122]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長沙/湖湘文化의 우의성
  • 학술발표[20070705] 우언문학사와 초기소설의 관련양상
  • 학술발표[20060218] 괴서형'서정전'과 초인형 '옹고집전'의 비교
  • 학술발표[20011030] 베트남 {聖宗遺草}의 우언문학적 성격에 대하여
  • 학술발표[20011001] 試探出處論和寓言小說的關係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