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원병 사진

채원병 | 바이오융합대학 생명자원학부

  • 직급:
    부교수

교수소개

경희대학교 원예학과에서 수학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에서 작물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6년부터 2019년까지 농촌진흥청에서 약 13년간 농업연구사로 재직하며 2기작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 무, 배추 유전 및 육종 연구, 토마토 내서성 육종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고 농업분야 공적개발원조 사업(KOPIA)을 담당하였고 그 공로로 2018년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2019년 9월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교수로 부임한 이래 채소원예학, 원예작물육종학, 원예작물생명공학, 원예작물유전체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농림부, 농촌진흥청, 채소 재배 및 육종 산업체들과 관련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종자, 생명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편집이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현장명예연구관, 한국원예학회 이사 및 한국육종학회 운영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학력

  • [2001] 학사 경희대학교 / 원예학과
  • [2003] 석사 경희대학교 / 원예학과
  • [2012] 박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 Champaign / Crop sciences

주요경력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06-08-16)

주요연구분야

- Genome sequencing을 통한 채소작물 F1 품종 개발을 위한 조합능력 예측 시스템 개발
- Impedance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원예 및 식량작물 등 250여종의 작물에 대한 화분활력 검정
- 채소 내서성 분자표지 및 MAS(Marker-Assisted Selection) 시스템 개발
- 세포유전학과 유전체 분석을 통한 주요 채소작물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진화 연구

컨설팅 가능 분야

- 주요 원예 및 식량작물 등 250여 식물종에 대한 IFC 이용 화분활력 검정
- 무, 배추 노지재배 및 과채류 시설재배
- 채소 환경스트레스 내성 육종 및 분자육종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40927] Identification of Genomic Regions Associated with Powdery Mildew Resistance in Watermelon through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 일반논문[20231229] An improved method for cultivar identification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using M13-tailed primers
  • 일반논문[20231011] Only 11 Simple Sequence Repeats Needed to Identify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Cultivars
  • 일반논문[20230830] Comparative heat stress responses of three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genotypes differing temperature sensitivity
  • 일반논문[20230301] Differential Responses of Cherry Tomatoes (Solanum lycopersicum) to Long-Term Heat Stress
  • 일반논문[20230201] An Economic Method to Identify Cultivars and Elite Lines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for Small Seed Companies and Independent Breeders
  • 일반논문[20220501] Role of tyrosine autophosphorylation and methionine residues in BRI1 function in Arabidopsis thaliana
  • 일반논문[20220301] 감미가 우수한 녹색과육 키위 ‘감록’
  • 일반논문[20220301] Polyploidization reduces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progenies with high root pithiness and yield potential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 일반논문[20220301]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electing Traits for Heat Tolerance during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Stages in Tomato
  • 일반논문[20220301] A Preliminary Study for Identifying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Seed Production in Radish Using Genotyping-by-Sequencing
  • 일반논문[20220101] Glucosinolate variation among organs, growth stages and seasons suggests its dominant accumulation in sexual over asexual-reproductive organs in white radish
  • 일반논문[20211201] 지속적인 야간 저온에 의한 수박 품종별 식물체 생장 및 과실 비대 양상
  • 일반논문[20210701] Heat-tolerant hot pepper exhibits constant photosynthesis via increased transpiration rate, high proline content and fast recovery in heat stress condition
  • 일반논문[20210701] Factors Affecting Tolerance to Low Night Temperature Differ by Fruit Types in Tomato
  • 일반논문[20210301] 키위 재배지 생육기 기상과 과실특성
  • 일반논문[20201001] Physiological traits associated with high temperature tolerance differ by fruit types and sizes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 일반논문[20201001] Genome biology of the paleotetraploid perennial biomass crop Miscanthus
  • 일반논문[20200301] 스리랑카 주요 채소의 현황 및 육종 전망
  • 일반논문[20191201] Traits affecting low temperature tolerance in tomato and its application to breeding program
  • 일반논문[20190901] 블루베리 인력적화 시기와 방법이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