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국대학교 교원정보

네비게이션

DKU 학술/연구 뉴스

이미지
  •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 심동신의 금관[석주선기념박물관-이달의 유물⑥]
  • 석주선기념박물관(관장 이종수)은 1967년 개관(전신 중앙박물관) 이후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발굴보급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박물관은 약 4만 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구글아트앤컬처(Google Arts Culture)를 통해 전 세계에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노력하고 있다. 박물관과 홍보팀은 공동으로 큐레이터가 추천하는 [석주선기념박물관-이달의 유물] 기획특집 기사를 연재한다. 이달에 소개할 박물관 소장 유물은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심동신의 금관이다. △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심동신의 금관 심동신(沈東臣, 1824~ ?)은 조선 말기 문신이다. 심동신이 착용했던 금관(金冠)은 1964년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됐다. 심동신은 순조 24년(1824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사경(士敬)이다. 철종 원년(1850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 관찰사, 의금부사, 사헌부대사헌 등을 지냈다. 유물은 심동신이 참판으로 있을 때 착용했던 것으로 후손들이 보관하다가 7대손인 최우씨가 조복(朝服)과 함께 1948년 석주선 박사를 통해 박물관에 기증하게 됐다. 금관(金冠)은 문무백관이 조복(朝服)이나 제복(祭服) 차림을 할 때 함께 착용했던 관모이다. 금량관(金粱冠) 또는 양관(梁冠)이라고도 한다. 조복은 조선시대 관료들이 나라에 큰 행사나 종묘사직의 제사, 설날이나 동지 등에 착용한 예복이다. 금관과 함께 착용하므로 금관조복이라고 했다. △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심동신의 조복 조선시대 금관은 계급에 따라 관 상부의 금색 선인 양(梁)의 수량이 구분되었다. 1416년(태종 16)에 문무백관의 조복 제도를 정한 이후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양관은 조복과 제복에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양관은 △1품(5양관) △2품(4양관) △3품(3양관) △456품(2양관) △789품(1양관)을 썼다. 왕세자는 강사포에 6양관을

  • 2024.03.22 가지혜 | 학술 625
이미지
  • 주수현 교수, 크랙 결함 없는 나노셀룰러 그래핀 개발
  • 주수현 교수(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꿈의 신소재라 불리우는 그래핀의 크랙 결함을 없앤 나노셀룰러(나노 크기의 3차원 연속연결) 구조 그래핀 개발에 성공했다. △ 주수현 교수 그래핀은 전기 전달이 매우 우수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배터리 음극재 및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래핀 제작에는 흑연의 산화환원 특성을 활용한 화학적박리법과 화학기상증착 합성법(CVD)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나노구조의 그래핀들은 나노구조 사이의 연결성이 떨어지고 서로 간의 결합력이 약해 크랙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주수현 교수 연구팀은 일본 도호쿠 대학의 히데미 가토(Hidemi Kato) 교수팀과 공동으로 금속 용탕 탈성분법(원소 간 결합 선호도 차이를 활용한 새로운 공정)과 망간과 탄소를 증착해 얻은 비정질합금막을 활용해 크랙이 전혀 없는 나노셀룰러 구조 그래핀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 연구팀이 개발한 균열이 없는 나노셀룰러 그래핀구조 및 유연한 그래핀 필름. 오른쪽 그림들은 플렉시블 나트륨 배터리의 음극재로서의 우수한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보여준다. 연구팀이 제작한 나노셀룰러 구조 그래핀은 기존의 그래핀보다 전기전도도가 2배 이상 높고 인장강도도 10배 이상 높다. 플렉시블 나트륨 배터리의 음극재로 활용 시 매우 빠른 속도로 7,000번의 충방전 후에도 충전용량이 유지되는 획기적인 특성 향상을 이뤄냈다. 또한 연구를 통해 비스무트(중금속(Bi, 원자번호 83번))가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그래핀 형성 촉매 재료인 니켈과 구리보다 낮은 온도(600℃)에서 그래핀을 형성하는 우수한 특성이 있다는 것도 밝혀냈다. 주수현 교수는 새로운 공정을 통해 다양한 고기능성 재료들이 추가적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 이라며 배터리 음극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훨씬 높은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우수신진연구 지원을 받아 수

  • 2024.03.18 윤주연 | 학술 1212